1월 공모주로써 오늘은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는 아셈스 공모주 청약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아셈스는 국내외에서 총 54건의 특허를 보유 중일 정도로 자체 경쟁력을 내재화한 기업인데요. 주력 핵심 제품인 환경 접착 소재는 기존 용제형 접착 소제의 단점으로 꼽히는 인체 유독성을 보완했으며 재활용 및 바이오 원료로 만든 접착 소재는 탄소중립뿐 아니라 ESG 트렌드로 부합하는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시대에 변화에 잘 대응해 가는 기업으로 보입니다.
아셈스는 이번 공모 자금을 공장 증설, 신사업 설비 등에 투입할 방침이라고 하는데요. 인도네시아 스마랑 판매 지역을 확장 중이어서 공장 증설 수요가 높은 시점이며 무수염색과 오로라 프린팅, 글리터시트 생산 설비 등의 신규 사업 투자에도 쓰일 방침이라고 합니다.
<순서>
1. 기업개요
2. 청약일정
3. 공모내용
4. 공모가 산출및 적정가격
5. 기업가치 (실적, 재무제표)
6. 안전성 및 성장성 분석
7. 보호예수물량
8. 투자전망
■ 기업개요
- 아셈스는 2003년 설립된 접착제를 전문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며 현재 무용제 타입의 핫멜트 필름형 접착제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래미네이션(합포) 및 코팅, 접착 기능성 코팅사 및 원단의 개발, 그리고 효율적인 래미네이션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합포 기계제작 등을 공급하는 등 접착제 산업분야에서 원스탑 토탈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아셈스가 개발한 핫멜트 필름 접착제는 피착제 사이에 핫멜트 필름 접착제를 삽입하여 열과 압을 가하여 접착하는 개념입니다.

- 신발의 인솔 등의 접착에 사용되는 신발용 핫멜트 접착 필름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태광실업, 창신, 화승엔터프라이즈 등 신발 ODM, OEM사를 거쳐 최종 수요자는 나이키, 아디다스 등 메이져 신발 브랜드사에 해당됩니다.

- 의류 및 자동차 천장재(썬루프)에 적용되는 핫멜트 필름도 공급하는 등 전방산업을 다각화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전방산업인 섬유, 신발, 의류, 자동차 등 조립제조업 분야가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접착소재에 대한 수요가 대량화되고 있고, 기능성 또한 다양화되어 가면서 접착소재는 단순 기능에서 고기능의 복합 형태로 바뀌어가는 추세입니다.

- 최근에 더욱 환경 친화적인 접착 소재 및 고기능성 접착소재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아셈스의 무이형지 핫멜트 필름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아 부가적인 환경오염 이슈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셈스의 제품은 기존의 수성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및 일반 핫멜트 접착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며, 친환경적인 최근 트렌드에 부합하여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아셈스는 고객 납기 대응과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 해외 생산기지를 구축하였습니다. 설립 이후 정상화되기까지의 과정은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정상화된 단계로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으며, 내실화를 기하는 중입니다.
■ 청약일정
최종공모가를 위한 수요예측일은 1월 17일부터 18일까지입니다.
공모청약일은 01월 24일부터 25일까지입니다.
납일 및 환불일은 01월 27일이며 상장일은 미정 입니다.
수요예측일
|
01월 17일 ~ 01월 18일
|
공모청약일
|
01월 24일 ~ 01월 25일
|
배정공고일
|
01월 27일
|
납입일
|
01월 27일
|
환불일
|
01월 27일
|
상장일
|
미정
|
■ 공모내용
총공모주식수는 2,000,000 주이며 100% 신주로 공모합니다.
희망공모가는 7,000 원 ~ 8,000 원입니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네요.
총공모주식수
|
2,000,000 주
|
상장공모
|
신주 100 % ( 2,000,000 주)
|
희망공모가
|
7,000 원 ~ 8,000 원
|
확정공모가
|
미정
|
희망 공모금액
|
140 억원 ~ 160 억원
|
개인청약주식수
|
500,000 주
|
개인청약한도
|
16,000 주
|
주간사
|
한국투자증권 |
■ 공모가 산출 및 적정가격
이번 희망공모가 7,000 원 ~ 8,000 원에 대한 산출근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희망공모가 산출은 역시 PER를 기준으로 산출된 것인데요.
1) 희망 공모가 산출을 위해서 우선 먼저 유사회사로 테이팩스와 예선테크, 앤디포스 이렇게 총 3곳을 최종 선정하여 평균 PER 19.39를 산출하였고요.

2) PER 19.39배를 기준으로 아셈스의 적용순이익을 2021년 3분기 지배주주지분 당기순이익 실적인 4,160백만원을 연환산하여 5,547백만원으로 산출하고 여기에 PER 19.39배를 적요하여 기업가치 (시가총액)을 107,556백만원으로 산출한후 적정주식수를 나누어서 주당 평가가액으로 9,761원을 산출했습니다.

3) 그런 후에 할인율 28.3%~18%를 적용하여 최종 희망공모가액 밴드로 7,000원~ 8,000원을 산출한 것입니다.
■ 기업가치 (실적, 재무제표)
전체적으로 아셈스의 실적과 재무제표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주요사업 자체가 경기를 타지 않는 꾸준한 필수 소비재에 해당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큰 기복 없이 부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2021년 9월까지의 자본증액분에 의한 자산총계의 변화를 제외한다면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매출액을 보면 상당히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만 2020년 당기순이익이 이전 해인 2019년에 비해 큰 폭의 감소를 겪었으나 2021년 9월 현재 다시 크게 상승하는 모습이 나오고 있습니다.
2020년 당기순이익이 큰 폭의 감소를 겪은 것은 이전 글에 올려드렸던 스코넥엔터테인먼트의 경우와 비슷한 경우인데요. 2020년에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면서 2019년부터 전환상환우선주의 평가에 의한 파생상품평가손실로 약 17억원을 그대로 인식하게 됨으로 인하여 실제 재무제표상에 이익률 하락이 발생환 것입니다.
<단위 : 원>
|
2021년 9월
|
2020년
|
2019년
|
자산총계 | 72,299,319,165 | 57,794,210,747 | 56,695,338,045 |
부채총계
|
36,877,770,573 | 28,834,164,645 | 38,189,706,324 |
자본총계
|
35,421,548,592
|
28,960,046,102 | 18,505,631,721 |
매출액
|
30,260,452,548 | 34,048,822,197 | 34,112,227,044 |
영업이익
|
4,355,732,200 | 4,837,657,451 | 4,609,955,983 |
당기순이익
|
4,403,938,934 | 1,052,238,331 | 4,278,463,373 |
■ 안정성 및 성장성 분석
부채비율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2020년 부터 자본확충을 지속함에 따라 부채비율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역시나 안정적인 매출액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네요.
영업이익 성장률은 줄어들고 있으나 2020년 기준으로 2021년 9월까지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14%대의 영업이익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경쟁업에 대비 높은 성장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
2019년
|
2018년
|
부채비율
|
99.56 %
|
206.37 %
|
262,31 %
|
매출액 성장률
|
-0.19 %
|
26.49 %
|
27.60 %
|
영업이익 성장률
|
14.21 %
|
46.69 %
|
97.73 %
|
자기자본 수익률 (ROE)
|
3.63 %
|
23.12 %
|
11.58 %
|
■ 보호예수 물량
보호예수 물량은 60.25% 인 6,638,689 주이며 이에 따라 유통가능 물량은 39.75%에 해당하는 4,380,417 주입니다.
상장후 락업될 물량은 적절해 보입니다.
|
주식수
|
지분율
|
보호예수물량
|
6,638,689 주
|
60.25 %
|
유통가능물량
|
4,380,417 주
|
39.75 %
|
공모후 주식합계
|
11,019,106 주
|
100 %
|
■ 투자전망
주요 사업인 접착제 사업 자체가 크게 경기를 타지 않는 사업이다 보니 아셈스의 강점은 무엇보다도 안정성에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엄청난 시장의 관심을 끌만한 사업은 아니지만 화려하게 시장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으나 속은 텅 빈 업체보다는 개인적으로 이런 알차 보이는 기업들도 장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큰 기대는 말아야겠지만 또 모르지요.
요즘같이 강력한 긴축이 기다리고 있는 금리 상승 시대이니 만큼 시장이 이런 안정적인 주식에 크게 눈길을 줄 수도 있겠지요. 역사적으로 본다면 금리 변화가 가속화되면 투자의 시계열은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투자는 개인의 몫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