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핵융합 관련주 7 종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지난 12월 30일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제16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열고 '제4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습니다. 이번에 확정된 제4차 기본계획에서는 국내 역량과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 글로벌 연구개발 일정 등을 종합 고려한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 장기 일정'을 제시한 것인데요.

 

그 내용을 살펴보면 오는 2026년까지 한국형 인공태양(KSTAR)의 지속 시간을 10배 늘린다는 것이며 핵융합 전력 생산을 위한 플라즈마기술 등 8대 핵심기술도 확보하는 등 핵융합 장기 연구개발 로드맵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또한 2050년대까지는 핵융합 전력생산을 실증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는데요. 2035년경 이후에는 ITER의 목표 달성(에너지 증폭률 10배)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물론 이번 기본 계획에는 8대 핵심기술 확보 및 핵심 부품의 국내 조달 ,핵융합 발전의 경제성 확보가능성 등을 고려해 한국의 실증로 건설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는 내용도 들어있었습니다.

 

물론 정부의 탈원전정책에는 변함이 없지만 인공태양 연구분야에서는 정부에서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지원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핵융합관련주들도 향후 큰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기회가 열릴 수 있을 텐데요. 핵융합 관련주 7 종목을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모비스

2. 다원시스

3. 이엠코리아

4. 일진파워

5. 비츠로테크

6. 우리기술

7. 엘오티베큠

 

 

■ 모비스

 

 

- 모비스는 2016년 설립되어 하나금융인수목적 주식회사와 합병을 통해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고, 피합병회사인 모비스는 2000년 설립되었으며 현재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대형 과학 프로젝트인 빅사이언스 시설물 제어에 필요한 제어시스템 및 장비를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8년 9월 블록체인 기반한 P2P 광고 플랫폼 및 솔루션 제공을 하는 블록베이스 지분을 획득함.

 

- 기초과학 거대시설물 제어 소프트웨어 및 극한정밀장비를 전문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EPICS 기반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부문은 가속기(LLRF, 빔라인, SSA, 공용제품 등)의 제조 및 용역업, 핵융합발전로 제어시스템(CFS, CIS 등) 용역업, 기타 설비제어 용역업으로 나누어집니다.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 증가하였으나 영업손실은 202.6% 증가, 당기순손실은 27% 증가하였습니다.

 

 

- 핵융합 부문의 부진에도 가속기의 수주 호조와 함께 자회사 에이디엠코리아의 성장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습니다.

 

- 경상연구개발비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가중으로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적자로 전환되었으나 금융자산평가이익 증가 및 법인세비용 감소 등으로 순이익은 흑자전환되었습니다.

  

 - 전방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에 따른 관련 임상시험 수탁 수주 증가세와 핵융합 부문의 양호한 수주잔고 확보 등으로 형적으로 성장해 나갈수 있을것으로 전망됩니다.

 

 

- 모비스의 주요 고객은  포항가속기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제 핵융합실험로, 국가핵융합연구소 등 국내외 연구 기관들입니다.  현재 머신러닝을 적용할 수 있는 산업으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임상CRO업체인 에이디엠코리아를 자회사로 편입 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거대과학 글로벌 산업화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다원시스

 

 

- 다원시스는 특수전원장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6년 1월 설립되었으며, 현재 국내에서 핵융합전원장치를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으로써 특수전원장치 사업부문과 전자유도가열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플라즈마, 전동차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특수전원장치와 전자유도가열장치를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 특수전원장치사업은 최종 수요처인 국가핵융합연구소와의 직접계약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자유도가열사업은 철강플랜트 전문기업과 계약을 통해 매출을 발생키시고 있습니다.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78% 감소하였고 당기순이익은 40% 감소.하였습니다.

 

 

- 특수전원장치 부문의 부진에도 서울교통공사 4호선 210량, 무가선 저상트램 등의 매출인식 확대에 힘입어 외형은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습니다.

 

- 판관비 부담 완화에도 원가구조 저하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 매각예정비유동자산처분이익 발생 및 이자비용 감소 등에도 법인세비용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은 하락하였습니다.

 

- 주요 프로젝트의 매출인식 지속에 따라 철도부문 중심으로 외형 성장이 전망되며, 관계사 다원네스뷰의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 진출 등으로 수익성에 대한 개선이 기대됩니다.

 

 

- 이전까지 국내 시장을 독식하고 있던 현대로템과의 경쟁으로 우려감이 많았지만 지속적인 입찰 성공으로 수주 잔액이 쌓여 성공적으로 안착하였습니다.

 

- 국토부는 2021년도 약 1조 400억규모의 구매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축적된 기술적, 영업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경쟁 입찰 참여를 통한 신규 수주를 위해 적극 노력중에 있습니다.

 

 

이엠코리아

- 이엠코리아는 2003년 3월 20일 공장기계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사업부문으로 공작기계부문, 방산/항공부문, 발전설비부문, 설용 터널보링머신(TBM)을 제작하는 TBM 부문이 있으며, 자회사로 환경부문과 수소에너지/스테이션 제조 및 시공을 영위하는 에너지 부문이 있음. 동사는 공작기계 완성품 및 부품을 제작하여 국내 주요 공작기계 업체에 OEM 형식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 공작기계(CNC선반, MCT부품 외) 및 방산/항공 부품(K-9/21 부품, T-50부품, 민항기부품 외)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경영효율성 및 사업경쟁력을 제고함으로써 수익성을 강화할 목적으로 2016년 1월 1일 자로 환경 및 에너지 관련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이엠솔루션(주)으로 신규 설립을 하였습니다.

 

- 공작기계 구성품과 CNC 선반 완제품은 OEM·ODM방식으로 현대위아를 통해 국내 자동차부품업체로 공급, 방산/항공 부품은 현대위아, 한화디펜스, KAI 등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7%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되었으며 당기순손실은 75.9% 감소하였습니다.

 

 

 - 발전설비 부품의 수요 증가에도 현대위아향 공작기계의 수주 위축과 자회사 이엠솔루션의 부진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 수준에 정체가 되었습니다.

 

- 원가율 상승과 지급수수료, 주식보상비 증가 등 판관비 부담이 가중되며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되었으나나 파생상품평가손실 제거 등으로 순손실 규모는 축소되었습니다.

 

- 글로벌 경기 개선과 정부의 수소충전소 구축 확대가 기대되나 주요 고객사 OEM향 공작기계의 수주가 감소하고 있어 외형 성장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보여집니다.

 

 

- 이엠코리아의 제품 판매처인 현대위아를 통해 국내시장, 중국. 미국, 유럽 등 세계 약 30여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매년 매출액의 약 30% 정도가 해외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 현재 시장점유율은 국내 시장점유율 1, 2위를 다투고 있는 현대위아와 두산공작기계간의 시장점유율을 근거하여 약 13%의 국내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일진파워

- 일진파워는 2014년 01월 물적분할 당시 (주)일진플랜트 였으며, 2014년 01월 07일 (주)일진에너지로 상호를 변경함하였습니다.

 

- 꾸준한 연구개발 등으로 각종면허 및 인증을 획득하여 화공기기 제작, 플랜트 경상정비, 유지보수 등을 하다가 2002년 한국남부발전(주)하동화력 경상정비공사를 수주하여 본격적으로 사세를 확장하였으며 현재까지 축적한 기술력의 민간정비회사로 성장하였고 향후 해외 발전소 정비시장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발전소 경상정비 용역업,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울산 울주군 온산읍 산암로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습니다.

 

 

- 종속기업 (주)일진에너지를 통해 화공기기의 제작 및 플랜트 설비시공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국내외 건설업체 및 EPC 업체들입니다.

 

- 발전소 경상정비 시장은 한전KPS가 점유율 1위를 차지고 있으며, 그 밖에 동사와 금화PCS 등 민간 정비업체 6개가 경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12.6% 증가하얐으며 당기순이익은 8.9% 증가하였습니다.

 

 

- 화공/플랜트 부문의 역성장 및 원자력 기자재 수주 부진에도 COVID-19 기저효과에 따른 경상정비 부문의 회복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소폭 확대되었습니다.

 

- 원가구조 개선 및 인건비 감소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투자자산평가손실 감소 등으로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률은 상승하였습니다.

 

- 국내경기 개선으로 산업설비 경상정비 부문의 수주가 양호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전기공사 부문의 매출인식 확대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입니다.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이나 인건비 상승에 의한 제품의 가격 변동은 소폭이며 전반적인 석유화학 관련제품 생산업체의 경기 변동에 따른 제품 가격의 변동폭은 커질 수 있습니다.

 

- 1021년 5월 한국기계연구원과 수소액화플랜트 PIPING 설계용역계약 체결 등의 다양한 신규 사업에도 진출 중임입니다.

 

  

 ■ 비츠로테크

- 1968년 1월 설립되었으며, 차단기 및 개폐기, 수배전반을 판매하는 전력기기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또한, 플라즈마응용, 진공상태 초정밀접합, 특수공정 설계 등을 이용하여 각종 프로젝트에 납품하는 특수사업 부문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 2016년 8월 특수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였으며, 9월 (주)비츠로셀, (주)비츠로밀텍의 지분을 취득하여 종속회사로 편입하면서 당사까지 포함하여 총 7개의 계열회사가 있습니다.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33% 감소하였고 당기순이익은 46.3% 감소하였습니다.

 

 

- 저압기기, 수배전반 등 전력부문의 성장에도 자회사인 비츠로셀 및 비츠로넥스텍의 실적 부진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 수준에 정체되었습니다,

 

- 원가율 상승의 영향으로 영업이익률이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으며, 외환차익 증가 등에도 영업수지 저하로 순이익률 또한 하락하였습니다.

 

 

- 글로벌 경기 회복세 확대와 각국의 인프라 투자 지속, 정부의 그린뉴딜 사업, 비츠로셀의 사업영역 확장 등으로 외형 신장이 가능할것으로 기대됩니다.

 

- 비츠로테크는 우주항공산업에서는 품질과 신뢰성확보를 위해 동사는 AS/EN 9100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군용으로 사용되는 리튬염화티오닐전지의 Spiral type과 비축형전지의 유일한 양산업체입니다.

 

 

■ 우리기술

 

- 1995년 1월에 설립되었고 2000년 6월에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했으며, 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자가 8.72%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 2008년 원자력발전소의 핵심기술인 분산제어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원전사업 및 플랜트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우리기술의 사업부는 원전, 플랜트, 철도 부문의 시스템사업부와 면사 유통 및 구매대행의 신규사업부, 임대 및 품질검증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무선 네트워크기술 및 DSP등의 하드웨어 설계기술, 실시간 OS(Real-timeOS) 관련기술, 인터넷접속 및 네트워크 응용 관련기술, 데이터베이스 처리기술 등과 관련된 고급 기반기술들을 확보 중입니다.

 

-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 감소하였으며 영업이익및 당기순이익이 적자전환되었습니다.

 

 

- 원전시스템 수주 및 정비 용역 부문의 수주가 증가한 가운데 철도시스템 수주는 증가하였고  방위산업 부문의 수주도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양호한 매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매출 성장에 따른 판관비 부담의 완화로 영업손실 규모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며 관계기업투자주식처분이익 등 영업외수지 개선으로 순손실 규모도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습니다.

 

 

- 국내외 경기 개선과 한빛 제2발전소, 고리3발전소에 자재 및 부품 공급계약 체결, 계측제어설비의 국산화, 정부의 국방예산 증가, 해상풍력 시장 진출 등으로 매출성장이 전망됩니다.

  

 

■ 엘오티베큠

- 엘오티베큠은 2002년 3월 설립되어, 반도체 장비용 진공펌프 제조, 판매 및 수리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는 2021년 9월말 현재 엘오티머트리얼즈, 엘오티씨이에스 LOT VACUUM AMERICA,INC., 엘오티진공기술서안유한공사등 국내외에 7개의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건식진공펌프는 반도체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 태양광, 철강 및 일반산업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주로 공급하고 있으며 2021년 투자법인인 에이치인베스트먼트와 수선보수사업을 물적분할아여 엘오티티에스를 설립하였습니다.

 

 

- 세계 건식진공펌프 분야의 기술인 Split flow screw 타입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Multi-Type의 Hybrid Screw 메커니즘에 대한 특허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셀 제조 등에 사용되는 Fore Vacuum용 건식진공펌프의 국내외 수주가 증가함에 따라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44.7% 급증하였으며 외형확대에 따른 고정비용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도 전년동기의 약 3배 수준으로 늘어난 246.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전방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성장에 따른 건식진공펌프의 수주 호조와 자회사 엘오티머트리얼즈의 성장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 큰 폭의 매출 신장으로 원가부담 완화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나 무형자산손상차손 발생과 법인세비용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은 하락하였습니다.

 

 

- 3D NAND 고단화, 파운드리 공정 미세화 등에 따른 고용량 건식진공펌프의 사용량 증가와 이차전지 시장 진출 등으로 매출 성장세는 지속될것으로 기대됩니다.

 

- 2021년 투자법인인 에이치인베스트먼트와 수선보수사업을 물적분할아여 엘오티티에스를 설립하였습니다.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투자는 개인의 몫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